자료실

호텔·관광뉴스

왕복 4시간, 관광은 40분···태극기보다 멀미약 더 팔리는 독도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호텔관광경영학부
댓글 0건 조회 475회 작성일 20-06-30 09:01

본문

독도의 동도 끝자락에 있는 망양대. 태평양이 바라다 보이는 전망대다. 태극기 아래에 '독도' '대한민국'이라고 새겨진 표지석이 세워져 있다. 관람객의 출입이 제한된 장소다. 독도관리사무소의 허가를 받아 촬영했다. 백종현 기자

 

한반도에서 가장 먼저 해가 뜨는 곳. 지난 24일 독도에 다녀왔다. 온 국민이 ‘우리 땅’으로 알지만, 독도 땅을 밟아본 국민은 극소수다. 독도 관광을 시작한 2005년 이래 불과 246만 명이 독도 땅을 밟았다. 국민의 5%도 안 되는 숫자다. 독도로 가는 길은 얼마나 멀고 험할까. 독도 관광에 관한 여러 궁금증을 문답 형태로 풀어봤다.   

 


독도 어떻게 가야 할까?

독도는 동도와 서도, 그리고 약 89개의 바위와 암초로 이루어져 있다. 동도 정상부에서 내려다본 선착장과 서도의 모습. 오른쪽으로 보이는 바위가 삼형제굴바위다. 백종현 기자

 

방법은 하나다. 여객선을 타야 한다. 울릉도 동쪽 끄트머리의 저동항과 사동항에서 독도행 여객선이 뜬다. 편도로 대략 2시간 거리다. 여객 회사마다 배는 달라도 가격은 5만5000원으로 동일하다. 울릉도에는 아직 공항이 없다. 울릉도에 갈 때도 배를 타야 한다. 강원도 강릉 안목항과 동해 묵호항, 경북 울진 후포항과 포항에서 울릉도행 배가 다닌다.
 



독도 여행이 복불복이라고?

울릉도 사람은 농담 반으로 “삼 대가 덕을 쌓아야 독도에 닿을 수 있다”고 말한다. 독도 인근의 파도가 워낙 거세 출항과 접안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실제로 풍랑과 풍속에 따라 여객선을 운항하지 않는 날이 많고, 출항했다가 접안에 실패하는 경우도 더러 있다. 날씨가 따라줘야 입도가 가능한 셈이다. 파도에 대비해 출항 전 멀미약을 챙겨먹는 게 좋다. 울릉도 터미널 매점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상품은 태극기가 아니다. 멀미약이 압도적으로 잘 팔린다. 한 병에 1500원을 받는다.  


입도 실패하면 환불해줄까?

2019년 기준 울릉도~독도 여객선은 202일 운항에 나섰다. 접안에 실패한 날이 19일에 이르렀다. 정박에 실패한 배는 독도 주변을 선회하다 항구로 돌아온다. 이 경우 환불은 없다.


독도 관광객 얼마나 될까?

높은 파도로 여객선이 접안에 실패하자, 마중 나온 독도경비대가 손을 흔들어 인사하고 있다. 지난해 8월의 모습이다. 독도에는 한 번에 최대 470명이 입도할 수 있다. [연합뉴스]
            
독도 관광은 2005년 시작됐다. 2020년 6월 현재 누적 관광객은 246만 명에 달한다. 지난해에는 25만 명이 독도 땅을 밟았다. 올해는 코로나19의 여파로 운행을 쉬다, 4월 30일 첫 손님을 받았다. 하루 최대 3000명의 관광객을 받는데, 요즘은 1000명을 넘기는 경우가 드물단다.



독도 정상에 갈 수 있을까?

독도 망양대에서 바라본 동도의 모습. 백종현 기자

 

독도는 동도와 서도, 그리고 89개의 크고 작은 바위로 이루어져 있다. 관광에는 제약이 많다. 섬 전체가 천연기념물로 336호로 지정돼 있어서다. 일반인이 관람할 수 있는 구역은 동도 선착장뿐이다. 면적이 2390㎡(약 720평)에 이른다.
 



무엇을 담아야 할까?

독도에 자생하는 들풀들을 구경하는 재미도 크다. 왕해국(위)과 땅채송화. 거친 바닷바람을 맞으며 절벽에서 꽃을 피우는 놈들이다. 백종현 기자

 

관람객의 독도 체류 시간은 대략 40분. 구경은 물론이고 기념사진 촬영도 속도가 생명이다. 독도에는 기이한 형태의 해식동굴과 바위가 지천으로 널려 있다. 과거 독도의용대가 칼을 갈았다는 ‘숫돌바위’와 세 개의 동굴이 있는 바위섬 ‘삼형제굴바위’ 앞이 독도의 인증사진 명소다. 독도는 괭이갈매기 집단 번식지기도 하다. 봄에 태어난 새끼 괭이갈매기도 이제 막 날갯짓을 시작했다. 거친 파도와 싸우며 독도에서 자생하는 꽃도 있다. 요즘은 왕해국·땅채송화 등이 절벽 틈에서 꽃을 피우는 계절이다.
 



독도엔 누가 살고 있을까?

지난 봄 태어난 독도의 괭이갈매기 새끼가 어미를 부르고 있다. 독도에만 대략 2만 마리의 괭이갈매기가 산다. 백종현 기자

 

독도경비대원과 독도관리사무소 직원, 등대 관리원 등 대략 40명이 상주하고 있다. 운이 좋으면 강아지 두 마리도 만날 수 있다. 한국삽살개재단에서 독도에 파견한 삽살개 ‘동순이’와 ‘서돌이’가 독도경비대원과 함께 생활하고 있다. 유일한 독도 주민이었던 ‘독도지킴이’ 김성도씨는 2018년 지병으로 별세했다.
독도=백종현 기자 baek.jognhyun@joongang.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